가브릴로 프린치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브릴로 프린치프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의 세르비아인으로, 1914년 6월 28일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위 계승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과 그의 부인을 암살했다. 그는 세르비아 민족주의 단체인 흑수단과 청년 보스니아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의 독립과 남슬라브족 통일을 추구했다. 사라예보 사건은 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프린치프는 체포되어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다. 그의 유산은 논란의 대상이며, 유고슬라비아 시기에는 영웅으로, 현재는 테러리스트로 간주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무신론자 - 젤코 콤시치
젤코 콤시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사회민주당 정치인으로, 보스니아 전쟁 참전 후 노보 사라예보 시장과 사라예보 부시장을 거쳐 대통령 위원회의 크로아티아인 대표로 2006년 이후 네 차례 당선되어 국내외 정책에 관여하며 유럽 연합 가입을 지지하고 있다. - 세르비아의 무신론자 -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주장하며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을 지냈고 유고슬라비아 전쟁에 개입하여 전쟁 범죄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되었으나 재판 중 사망했으며 그의 통치와 행동은 국제적인 논란을 일으켰다. - 세르비아의 무신론자 - 토마스 네이글
토마스 네이글은 유고슬라비아 출신의 미국 철학자로, 마음의 철학, 윤리학, 정치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의식의 주관성, 이타주의, 조세 정의에 대한 철학적 견해를 제시했다.
가브릴로 프린치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가브릴로 프린치프 |
출생 | 1894년 7월 25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오블랴이 (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사망 | 1918년 4월 28일 (23세) |
사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보헤미아 왕국 테레진 요새 (현재의 체코) |
안장지 | 비도브단 영웅 예배당 |
신장 | 1.52 미터 |
범죄 정보 | |
죄목 | 반역죄, 살인죄 (2건) |
형벌 | 징역 20년 |
주요 범죄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암살 |
소속 | |
단체 | 믈라다 보스나, 검은 손 |
영향 | 보그단 제라지치, 대세르비아주의 |
기타 | |
알려진 이유 |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암살 |
2. 어린 시절
가브릴로 프린치프는 1894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보산스코그라호보 인근 오블랴이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페타르 프린치프와 마리야 프린치프이며, 9명의 형제 중 6명이 유아기에 사망하여 세르비아 정교회 주교가 대천사 가브리엘에서 따온 '가브릴로'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프린치프의 가족은 세르비아인으로, 오스만 제국 치하에서 무슬림 지주에게 억압받는 농노였다. 아버지 페타르는 헤르체고비나 봉기에 참여했고, 이후에는 보스니아 북서부와 달마티아 사이에서 우편물과 승객을 운송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1903년, 프린치프는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고, 교장에게서 세르비아어 서사시집을 선물로 받았다. 13세에 사라예보로 이주한 프린치프는 형 요반의 권유로 처음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 사관학교에 진학하려 했으나, 상업학교에 입학하게 되었다. 요반은 육체 노동으로 번 돈으로 동생의 학업을 지원했다. 3년 후, 프린치프는 사라예보 김나지움으로 전학했다.
2. 1. 출생 및 가정 환경
가브릴로 프린치프는 1894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보산스코그라호보 근처 오블랴이 마을에서 세르비아인 농부인 아버지 페타르 프린치프와 어머니 마리야 사이에서 태어났다. 프린치프 가문은 몬테네그로 그라호보, 닉시치에서 이주해온 요비체비치 씨족에 속했으며, 세르비아 정교회 신앙을 따랐다. 프린치프에게는 9명의 형제가 있었으나 그 중 6명은 유아기에 사망했다. 세르비아 정교회 주교는 병약한 프린치프가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대천사 가브리엘에서 이름을 딴 "가브릴로"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프린치프의 부모는 무슬림 대지주 밑에서 일하던 빈농 출신이었다. 아버지 페타르는 청년 시절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반대하는 헤르체고비나 봉기에 가담하기도 했다. 봉기 이후 페타르는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보스니아 북서부에서 달마티아로 물자를 수송하는 일을 했다.
1903년, 프린치프는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초등학교에 진학했다. 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프린치프는 교장으로부터 세르비아어 서사시를 선물로 받았다. 13세 때 프린치프는 사라예보로 이주하여 형 요반의 권유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사관학교에 입학하려 했으나, 요반은 마음을 바꾸어 동생을 상업학교에 입학시켰다. 요반은 삼림 벌채 공장에서 일하면서 얻은 수입으로 동생의 수업료를 지불했다. 1910년에 프린치프는 고향으로 돌아와 김나지움에 진학했다.
2. 2. 교육 과정
1903년 프린치프는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초등학교에 진학했다. 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낸 프린치프는 교장으로부터 세르비아어 서사시를 선물로 받았다.[4] 13세 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사관학교로 입학시키려는 형 요반(Jovan)의 권유로 사라예보로 이주했다.[4] 그러나 요반은 동생을 사관학교에 입학시키는 대신 상업학교에 입학시켰고, 벌목 공장에서 일해 얻은 수입으로 동생의 수업료를 지불했다.[5]1910년 프린치프는 고향으로 돌아와 김나지움에 진학했다.[6] 같은 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총독 암살 미수 사건을 일으켜 처형된 Bogdan Žerajić|보그단 제라이치영어에게 영향을 받아 세르비아 민족주의에 심취하게 된다.[7]
3. 세르비아 민족주의 운동
프린치프는 1911년부터 흑수단과 믈라다 보스나 대원으로 활동하며 남슬라브주의 운동을 펼쳤다. 이 운동은 세르비아 왕국이 주도하여 남슬라브족 단일 국가 건설을 목표로 했다.
오스만 제국 지배 하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878년 베를린 조약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점령되었고, 1908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이 설립되었다. 프린치프 등 남슬라브주의자들은 보스니아 독립과 세르비아와의 통합을 원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를 견제하려 했다.
1912년, 프린치프는 합스부르크 권위에 대한 시위에 참여하여 헝가리 국기를 불태우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과 충돌하여 부상을 입기도 했지만, 학생 총파업을 주도하며 보스니아 내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무슬림의 연대를 이끌어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으로 인해 프린치프는 학교에서 퇴학당했고, 1912년 봄 베오그라드로 떠나게 된다.
1912년 10월 발칸 전쟁이 발발하자 프린치프는 세르비아 불규칙 부대에 자원했지만, 작은 체구 때문에 거절당했다. 블라디미르 데디예르에 따르면, 군대에 받아들여지지 않은 경험이 프린치프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1913년 5월, 오스트리아-헝가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총독 포티오레크 장군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계엄령을 시행하며 세르비아계 단체들을 탄압했다.
1913년 여름 프린치프는 고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을 통과했고, 1914년 초에는 제1 벨그라드 고등학교에서 6학년 시험을 준비했다.
3. 1. 청년 보스니아 가입
1911년 프린치프는 세르비아 육군 장교들이 결성한 비밀 결사 조직인 흑수단과 보스니아의 범슬라브주의 혁명 조직인 믈라다 보스나 대원으로 활동했다.[2] 이들 단체는 범슬라브주의의 한 갈래인 남슬라브주의 운동을 주장했다. 남슬라브주의 운동은 1878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세르비아 왕국이 주도하였으며 남슬라브족을 중심으로 하는 단일 국가 건설을 주장했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878년에 체결된 베를린 조약에 따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점령 상태에 놓이게 된다. 1908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을 설립했다. 세르비아계 보스니아인인 프린치프를 비롯한 남슬라브주의자들은 보스니아가 독립하여 세르비아와 합치는 것을 원했는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러시아 제국의 지원을 받으며 남슬라브 운동을 부추기는 세르비아를 제지할 구실을 찾고 있었다.
프린치프는 뜻을 같이하는 젊은 민족주의 혁명가들과 교류하기 시작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총독을 암살하려다 자살한 보스니아 세르비아인 보그단 제라이지치를 존경하게 되었다. 프린치프는 청년 보스니아(믈라다 보스나)에 가입했는데, 이 단체는 보스니아의 주요 민족 집단 출신 회원들로 구성되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통치로부터 보스니아를 해방하고 모든 남슬라브족을 하나의 국가로 통일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지역 당국이 학생들의 조직 결성을 금지했기 때문에 프린치프와 다른 청년 보스니아 회원들은 비밀리에 만났다. 그들은 회의에서 문학, 윤리, 정치에 대해 논의했다.
1912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에 반대하는 시위를 주최한 혐의로 김나지움에서 퇴학당했다. 프린치프는 사라예보에서 280km 정도 떨어진 세르비아 베오그라드를 도보로 횡단했다. 프린치프는 흑수단의 게릴라 활동에 참여하기를 원했지만, 키가 기준에 미달해서 거부당하고 만다.
3. 2. 김나지움 퇴학과 베오그라드 생활
1911년, 프린치프는 세르비아의 분리 독립을 목표로 하는 혁명 조직 "믈라다 보스나(Young Bosnia)"에 참가하여 구성원들과 비밀리에 회합을 거듭하며 문학, 윤리, 정치에 대해 이야기했다.[2]1912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에 반대하는 시위를 주최한 혐의로 김나지움에서 퇴학당했다.[19] 프린치프는 사라예보에서 280km 정도 떨어진 세르비아 베오그라드를 도보로 횡단했다. 베오그라드에 도착한 프린치프는, 흑수단의 구성원인 소령에게 오스만 제국에 대한 게릴라 운동에 참여하고 싶다고 지원했지만, 신장이 기준에 미달되어 거절당했다.[19]

실의에 빠진 프린치프는 사라예보에 있던 동생의 집에서 생활하게 된다. 프린치프는 반 오스만 조직 구성원인 와 접촉하여 믈라다 세르비아의 구성원 15명과 함께 브라네의 훈련소에 파견되었다. 프린치프는 훈련소에서 암살과 폭탄 제조 훈련을 받은 후, 베오그라드로 돌아왔다.[19]
4. 사라예보 사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세르비아 정교를 믿는 세르비아인, 이슬람교도인 보스니아인, 가톨릭을 믿는 크로아티아인 거주 지역이 섞여 있는 곳으로, 원래 오스만 제국 영토였으나, 1878년의 베를린 회의 결정에 따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점령한 후, 1908년에 정식으로 병합되었다.
당시 발칸 반도에서는 러시아 제국을 후원하는 범슬라브주의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독일 제국의 지원을 받는 범게르만주의가 대립했고, 게르만 민족인 오스트리아의 점령 하에 있으면서 인구의 대다수가 슬라브계인 보스니아에서는 이미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같은 슬라브계인 세르비아 왕국으로의 병합을 요구하는 대세르비아주의·범슬라브주의가 대두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14년 6월 28일 프란츠 페르디난트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대공 부부가 사라예보에서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이 사건을 계기로 세르비아에 대한 내정 간섭을 요구하는 통첩을 보냈으나, 세르비아가 이를 일부 거부하자 선전 포고를 감행,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게 되었다.
4. 1. 암살 계획
흑수단 대원들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추정상속인이었던 프란츠 페르디난트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대공과 그의 아내인 조피 초테크 폰 호엔베르크 여공작을 암살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1914년 6월 28일에는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부부가 군사 훈련을 참관하기 위해 사라예보를 방문했다.[21]

대세르비아주의를 내걸고 세르비아군 장교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에 의해 조직된 흑수단(츠르나 루카)은 프란츠 페르디난트 암살을 계획했고, 프린치프도 계획에 참여했다. 흑수단은 1911년에 프란츠 요제프 1세 암살을 계획했지만 실패했다.[20]
1914년 6월 28일 오전 10시, 프란츠 페르디난트 부부를 태운 열차가 사라예보에 도착했다.[21] 프란츠 페르디난트 부부는 세르비아역에서 자동차를 타고 사라예보로 향했다. 6대의 차량 행렬의 선두에는 사라예보 시장과 경찰서장 에드문트 게라데가 탑승했고, 부부는 두 번째 차량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총독과 프란츠 폰 할라흐 중령과 함께 탑승했다.[22] 또한, 시민들과 교류하기 위해 차량 지붕은 접혀 있었다.[22]
흑수단의 멤버 7명은 각각 간격을 두고 도로에 대기하며, 차량 행렬이 눈앞을 지나갈 때 습격할 계획이었다. 무하메드 메흐메드바시치가 처음 차량 행렬과 접촉했지만, 그는 행동을 하지 않고 관망했다(후년에 "배후에 경관이 서 있어서 행동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20] 10시 15분, 중앙 경찰서 앞에서 대기하고 있던 네데류코 차브리노비치가 프란츠 페르디난트 부부가 탄 차에 폭탄을 던졌지만, 폭발까지 10초의 시간 차가 발생했고, 4번째 차가 지나갈 때 폭발하여, 4번째 차에 타고 있던 에릭 폰 메리치와 알렉산더 폰 보스-발데크 백작과 시민 12명이 부상당했다. 차브리노비치는 독약을 먹고 강에 뛰어들었지만, 독약은 불량품이라 효과가 없었고, 강도 수심 10센티미터밖에 되지 않아, 곧 끌어내 체포되었다.[23] 폭발음을 들은 차량 행렬은 속도를 높여 총독 관저로 도망쳤고, 프린치프를 포함한 나머지 5명의 멤버는 혼란스러운 많은 군중에 막혀 암살을 감행하지 못했다.
총독 관저로 도망친 프란츠 페르디난트는 폭탄으로 부상당한 시민들을 위문하기 위해 병원으로 향했다. 포티오레크는 시내 중심부를 피해 우회하는 루트를 선택했지만, 운전기사 레오폴트 로이카에게 루트 변경을 전달하는 것을 잊어버렸다. 그 때문에 로이카는 길을 잘못 들어 프란츠 요제프 거리에 들어섰고, 카페에서 식사를 하던 프린치프와 마주쳤다. 차는 방향을 전환했지만, 프린치프는 FN 브라우닝 M1910을 꺼내 차에 접근하여, 1.5미터 거리에서 발포했다.[24] 프린치프는 1발째를 조피의 복부에, 2발째를 프란츠 페르디난트의 목에 발포했고, 차는 총독 관저로 도망쳤지만, 부부는 오전 11시 전에 사망했다.
4. 2. 암살 실행
세르비아 왕국으로의 병합을 요구하는 대세르비아주의를 내걸고 세르비아군 장교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에 의해 조직된 흑수단(츠르나 루카)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추정상속인이었던 프란츠 페르디난트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대공과 그의 아내인 조피 초테크 폰 호엔베르크 여공작을 암살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1914년 6월 28일,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부부는 군사 훈련을 참관하기 위해 사라예보를 방문했다. 공동 통치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인 사라예보는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파견된 총독이 주재하고 있었다. 같은 해 6월, 같은 지역에서 군사 훈련이 열리게 되자, 오스트리아 황제프란츠 요제프 1세의 후계자인 프란츠 페르디난트가 비(妃) 조피 호텍(체코 귀족 출신)과 함께 시찰을 위해 사라예보를 방문한 것이다.
이날 오전 10시, 프란츠 페르디난트 부부를 태운 열차가 사라예보에 도착했고, 부부는 세르비아역에서 자동차를 타고 사라예보로 향했다. 6대의 차량 행렬 중 세 번째 차량이었으며, 시민들과 교류하기 위해 차량 지붕은 접혀 있었다.[22]
프린치프를 포함한 흑수단의 멤버 7명은 각각 간격을 두고 도로에 대기하며, 차량 행렬이 눈앞을 지나갈 때 습격할 계획이었다. 무하메드 메흐메드바시치가 처음 차량 행렬과 접촉했지만, 그는 행동을 하지 않고 관망했다.[20] 10시 15분, 중앙 경찰서 앞에서 대기하고 있던 네델코 차브리노비치가 프란츠 페르디난트 부부가 탄 차에 수류탄을 던졌지만, 폭발까지 10초의 시간 차가 발생했고, 네 번째 차가 지나갈 때 폭발하여 시민 12명이 부상당했다. 차브리노비치는 독약을 먹고 강에 뛰어들었지만, 독약은 불량품이라 효과가 없었고, 강도 수심 10센티미터밖에 되지 않아 곧 체포되었다.[23] 폭발음을 들은 차량 행렬은 속도를 높여 총독 관저로 도망쳤고, 프린치프를 포함한 나머지 5명의 멤버는 혼란스러운 군중에 막혀 암살을 감행하지 못했다.
총독 관저로 도망친 프란츠 페르디난트는 폭탄으로 부상당한 시민들을 위문하기 위해 병원으로 향했다. 포티오레크는 시내 중심부를 피해 우회하는 루트를 선택했지만, 운전기사 레오폴트 로이카에게 루트 변경을 전달하는 것을 잊어버렸다. 그 때문에 로이카는 길을 잘못 들어 프란츠 요제프 거리에 들어섰고, 카페에서 식사를 하던 프린치프와 마주쳤다. 차는 방향을 전환했지만, 프린치프는 FN 브라우닝 M1910을 꺼내 차에 접근하여 1.5미터 거리에서 발포했다.[24] 프린치프는 첫 발을 조피의 복부에, 두 번째 발을 프란츠 페르디난트의 목에 발포했고, 차는 총독 관저로 도망쳤지만, 부부는 오전 11시 전에 사망했다.
프린치프는 사이안화물 성분이 들어간 캡슐을 삼키고 자살을 시도했지만, 독약이 불량품이었기 때문에 실패했다. 뒤이어 권총 자살을 시도했지만 발포하기 직전에 군중들에게 붙잡히고 만다.
4. 3. 재판과 투옥


프린치프는 프란츠 페르디난트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대공 부부를 암살한 후 청산가리를 마시고 자살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권총 자살마저 군중에게 저지당했다. 1914년 10월 12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된 재판에서 프린치프와 24명이 기소되었으며, 검사는 피고인 22명에게 반역죄와 살인죄를, 3명에게는 살인 공모 혐의를 적용했다. 프린치프는 공작 부인을 살해한 것을 후회했지만, 자신이 한 일에 대해서는 자부심을 느낀다고 진술했다. 오스트리아 경찰은 암살 음모가 순전히 세르비아의 소행임을 강조하려 했으나, 프린치프는 재판에서 자신은 민족 세르비아인이지만 모든 남슬라브족의 해방에 헌신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19세였던 프린치프는 합스부르크 법에 따라 20세 미만이어서 사형을 면하고 1914년 10월 28일 20년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테레지엔슈타트 요새 감옥에 수감되어 독방에 쇠사슬로 묶인 채 가혹한 환경에서 생활하며 결핵에 걸렸다. 1916년 2월부터 6월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의 정신과 의사인 마틴 파펜하임과 네 차례 만났는데, 파펜하임은 프린치프가 암살이 없었더라도 제1차 세계 대전은 일어났을 것이며 자신은 재앙에 대해 책임을 느끼지 못한다고 기록했다. 결국 프린치프는 사라예보 사건 3년 10개월 후인 1918년 4월 28일, 결핵과 영양실조로 옥중에서 사망했다. 사망 당시 그의 체중은 40kg에 불과했다.[3][25]
5. 유산과 평가
가브릴로 프린치프에 대한 평가는 시대와 정치적 상황에 따라 크게 엇갈린다. 프린치프가 이상으로 삼았던 유고슬라비아는 실현되었지만,[30] 제1차 세계 대전이라는 비극적인 결과를 낳았기 때문에 긍정적으로만 평가되지는 않는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에서도 프린치프를 테러리스트로 보는 시각과 영웅으로 보는 시각이 공존한다.
2014년 4월 21일 에미르 쿠스투리차 등은 프린치프의 동상 건립을 발표했다.[31] 사라예보 사건 100주년인 6월 27일에 제막식이 열렸고, 프린치프 티셔츠를 입은 사람들이 동상을 보기 위해 모여들었다.[32][33]
2015년 6월 28일 베오그라드에 프린치프 동상이 세워졌다. 스릅스카 공화국 대통령 밀로라드 도디크가 세르비아 대통령 토미슬라브 니콜리치에게 선물한 이 동상 제막식에서, 니콜리치는 "프린치프는 영웅이며, 유럽 전역을 노예화하려는 폭군에 맞선 해방의 상징"이라고 말했다.[34]
5. 1. 기념물 및 기념 사업
프린치프는 사망했지만, 그의 유산은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그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이지만 양극화된 인물로 남아 있다. 합스부르크 군주국과 지지자들에게 그는 살인적인 테러리스트였다.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그를 유고슬라비아 영웅으로 묘사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과 크로아티아 파시스트 우스타샤는 그를 타락한 범죄자이자 좌익 무정부주의자로 간주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게 그는 제국 통치로부터 유고슬라비아의 모든 민족을 해방하기 위해 싸운, 노동자와 억압받는 자들을 위해 싸운 무장 저항의 젊은 영웅, 자유 투사를 대표했다.[4] 1920년, 프린치프와 다른 공모자들은 발굴되어 사라예보로 옮겨져 비도브단 영웅 예배당 아래에 함께 묻혔다. 1990년대에 프린치프는 일부 사람들에게 대 세르비아 창설을 위해 활동한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로 간주되기 시작했다. 정치 운동과 정권들은 그들의 이념을 홍보하기 위해 그를 칭찬하거나 악마화했다.오늘날 그는 여전히 수많은 세르비아인들에게 영웅으로 칭송받고 있으며, 많은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들에게는 테러리스트로 간주된다. 보스니아 민족주의 민주 행동당의 고위 국회의원인 아심 사라일리치는 2014년에 프린치프가 "오스트리아 통치하의 황금 시대를 종식시켰다"고 말했으며, "우리는 자유 투사로서의 프린치프 신화에 강력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보스니아의 많은 세르비아인들은 그의 기억을 계속 숭배한다. 동사라예보의 세르비아 주지사인 네나드 사마르지야는 2014년에 "우리는 한때 모두 한 국가(유고슬라비아)에서 살았고, 그것을 어떤 종류의 테러 행위로도 보지 않았다"고 말했지만, "식민 노예 상태로부터 스스로를 해방하려는 젊은이들의 운동"이었다고 말했다.

프린치프가 사라예보에서 살았던 집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다.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대에 박물관으로 재건되었다. 1941년 유고슬라비아가 독일에 점령되었고 사라예보는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편입되었다. 크로아티아의 우스타샤는 그 집을 다시 파괴했다. 1944년 공산 유고슬라비아가 수립된 후, 그 집은 다시 재건되어 박물관이 되었고, 사라예보 시내에 그를 기리는 또 다른 박물관이 생겼다.[4] 1990년대의 유고슬라비아 전쟁 동안, 그 집은 다시 파괴되었고 2015년에 세 번째로 재건되었다.[5]
프린치프의 권총은 당국에 압수되었고, 결국 대공의 피 묻은 속옷과 함께, 대공의 가까운 친구이자 대공 부부에게 임종 예식을 집전했던 예수회 신부 안톤 푼티감에게 넘겨졌다. 권총과 셔츠는 오스트리아 예수회 소유로 남아 있다가 2004년 비엔나의 군사사 박물관에 장기 대여되었다. 현재 그곳의 상설 전시의 일부이다. 유고슬라비아 시대 동안, 암살 장소인 라틴 다리는 기념으로 '프린치프 다리'로 개명되었다가 1992년에 원래 이름인 Latinska Cuprija|라틴스카 추프리야bs로 돌아갔다.[6][7] 사라예보에는 가브릴로 프린치프를 기리는 기념물이 6개 정도 세워졌다가 정권이 바뀔 때마다 철거되었다.
1917년에 암살이 일어난 지점에 기둥이 세워졌으나 이듬해 파괴되었다. 1941년, 1930년에 세워진 프린치프 기념 명판은 독일군 침략 당시 현지 독일인들에 의해 제거되었다.[8] 그 명판은 아돌프 히틀러에게 생일 선물로 증정되었고[9] 박물관에 보관되었지만 1945년 이후 분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브릴로 프린치프는 독일 점령군을 몰아냈다"고 주장하는 새로운 명판이 세워졌다. 보스니아 전쟁 동안, 프린치프가 총격을 가한 곳을 표시하는 음각 발자국이 뜯겨져 나갔다.

암살 100주년이 다가오면서, 암살이 일어난 지점에 무정치적 명판이 설치되었는데, 거기에는 "1914년 6월 28일 이 자리에서 가브릴로 프린치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위 계승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과 그의 부인 소피아를 암살했다."라고 적혀 있다. 2014년 4월 21일, 토바리셰보에 프린치프의 흉상이 공개되었고, 100주년 당일에는 동사라예보에 동상이 세워졌다. 1년 후, 세르비아 대통령 토미슬라브 니콜리치와 스릅스카 공화국 대통령 밀로라드 도디크가 스릅스카 공화국에서 세르비아에 선물한 프린치프의 동상이 베오그라드에서 공개되었다. 공개 행사에서 니콜리치는 "프린치프는 영웅이었고, 해방 사상의 상징이었으며, 폭군을 죽이는 사람이었고, 노예 상태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생각을 유럽 전역에 걸쳐 펼친 사람이었다"라고 연설했다.
2018년 11월 11일,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100주년을 맞아,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의 증손녀인 호엔베르크의 아나타 공주와 가브릴로 프린치프의 종손자인 브라니슬라프 프린치프는 오스트리아 그라츠에서 화해의 상징적인 행위로 악수를 했다.[15]

프린치프가 사용한 권총은 압수되어 프란츠 페르디난트의 피 묻은 군복과 함께 대공의 친구인 안톤 푼티감 주교에게 인도되었다. 권총과 군복은 오랫동안 교회에 보관되어 있었으나, 2004년에 프란츠 페르디난트 부부가 탑승했던 차와 함께 빈 군사사 박물관에 대여되어 상설 전시되고 있다.[27] 또한, 프란츠 페르디난트의 목에 명중한 총탄은 체코의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생가는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파괴되었지만, 전쟁 후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재건하여 박물관으로 개방되었다. 그러나 1941년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고, 생가는 사라예보가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일부가 되었을 때 다시 파괴되었다. 그 후, 1944년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의해 박물관으로 재건되었고, 이와 별도로 사라예보 시내에도 프린치프를 기념한 박물관이 세워졌다. 그러나 1990년대의 유고슬라비아 전쟁 때 다시 파괴되었고, 이후에는 재건되지 않았다.
토요타 미노루의 저서에 따르면 "그가 서 있던 위치에는 그의 신발 자국이 새겨져 있고, 그 근처 건물의 벽에는 그의 얼굴 부조가 조각되어 있으며, 그 건물 안에는 프린치포프 기념관이 있다"[28]라고 쓰여 있지만, 신발 자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 때 파괴되었고, 현재는 기념비만 있다. 이 기념관의 현판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빼앗겨 아돌프 히틀러의 생일 선물로 사용되었다.[29]
참조
[1]
웹사이트
Gavrilo Princip – Slavic nationalist
https://www.britanni[...]
[2]
서적
Origins of the War of 1914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Gavrilo Princip Speaks: 1916 Conversations with Martin Pappenheim {{!}} Carl Savich
http://serbianna.com[...]
2019-07-04
[4]
웹사이트
GAVRILO PRINCIP – SOME THINGS NEVER CHANGE
http://meettheslavs.[...]
Meet the Slavs
2016-12-26
[5]
웹사이트
Rodna kuća Gavrila Principa: Obnovljena i zaboravljena
https://www.atvbl.rs[...]
[6]
웹사이트
Anglo-American Views of Gavrilo Princip
http://www.doiserbia[...]
[7]
웹사이트
From the Monument of Assassination Towards Gavrilo Princip's Monuments
http://etnologija.et[...]
2016-10
[8]
웹사이트
Sarajevo 1941: a birthday present for Adolf Hitler
https://www.european[...]
2022-07-18
[9]
웹사이트
Srećan rođendan, gospodine Hitler – Priča o jednoj fotografiji – Nedeljnik Vreme
https://www.vreme.co[...]
2022-07-18
[10]
뉴스
Sarajevo: the crossroads of history
https://www.ft.com/c[...]
2019-07-08
[11]
뉴스
Da Se Ne Zaboravi: Meštani Tovariševa sami podigli spomenik Principu!
http://www.telegraf.[...]
2015-06-28
[12]
웹사이트
Monument to Gavrilo Princip unveiled in East Sarajevo
http://www.b92.net/e[...]
B92
2014-06-27
[13]
뉴스
Serbia: Belgrade's monument to Franz Ferdinand assassin
https://www.bbc.com/[...]
BBC News
2015-06-08
[14]
뉴스
"Ne dozvoljavam vređanje poklanih Srba"
http://www.b92.net/i[...]
2015-06-28
[15]
웹사이트
Rukovanje potomaka nadvojvode Ferdinanda i Gavrila Principa
https://balkans.alja[...]
2023-04-12
[16]
간행물
Atentat u Sarajevu
https://www.imdb.com[...]
CFRZ, Beograd, Filmové studio Barrandov, Jadran Film
2022-07-18
[17]
간행물
Sarajevo
https://www.imdb.com[...]
Beta Film, Ceská Televize, Power of Earth TV & Film Productions
2022-07-18
[18]
간행물
The King's Man
https://www.imdb.com[...]
20th Century Studios, Marv Films, Marv Studios
2022-02-10
[19]
뉴스
Ovde je Gavrilo Princip učio da puca
http://www.blic.rs/V[...]
2013-10-02
[20]
서적
A Short History of World War I
HarperCollins
[21]
웹사이트
'June 28, 1914: The first attempt'
https://www.private-[...]
2015-01-27
[22]
서적
Assassination!
2015-01-27
[23]
서적
''Tästä alkaa maailmansota''
ヘルシンギン・サノマット
[24]
서적
A Brief History of Hitmen and Assassinations
Constable & Robinson, Ltd.
[25]
웹사이트
The man who started the First World War
http://www.telegraph[...]
Daily Telegraph
2013-11-07
[26]
서적
Introducing Austria: A short history
[27]
뉴스
Found: the gun that shook the world
http://www.telegraph[...]
2010-09-17
[28]
서적
豊田穣文学・戦記全集
光人社
[29]
웹사이트
Adolf Hitler’s Birthday Gift – Memorial to Gavrilo Princip
http://www.freedomfi[...]
FreedomFight.net
2014-03-02
[30]
서적
The Road to Sarajevo
Simon and Schuster
[31]
뉴스
"DA SE NE ZABORAVI: Meštani Tovariševa sami podigli spomenik Principu!"
http://www.telegraf.[...]
[32]
뉴스
テロリストか英雄か サラエボ事件100年で暗殺者の銅像
https://www.cnn.co.j[...]
2014-07-14
[33]
뉴스
「サラエボ事件」あす100年 セルビア、オーストリア 歴史認識で対立
http://www.tokyo-np.[...]
2014-07-14
[34]
뉴스
"Ne dozvoljavam vređanje poklanih Srba"
http://www.b92.net/i[...]
2015-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